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청년 취업자 18만명 감소…중소기업엔 눈길조차 안 보내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취업자 수가 10만명 안팎의 증가폭을 이어갔다. 자영업을 비롯한 내수 부문뿐만 아니라 제조업도 일자리 감소폭이 컸다.

 

이러한 가운데 중소기업 취업률은 ‘제자리’ 걸음이다. 일각에선 중소기업의 채용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이란 주장을 펼치는데 근본적인 구조가 개선되지 않는다면 앞으로도 중소기업의 채용은 힘들 전망이란 견해가 우세하다.

 

이웃 나라 일본은 사실상 완전 고용을 달성했다. 학생들은 대학을 졸업하기 전부터 취업이 확정돼 희망찬 미래를 설계한다. 반면 우리 청년들은 마음에 드는 일자리를 찾지 못해 졸업과 동시에 백수 신세가 되기 일쑤다.

 

11일 통계청이 발표한 '1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882만1000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12만3000명 증가했다.

 

10월(8만3000명)보다는 소폭 늘면서 한 달 만에 10만명대로 올라섰다.

 

올해 초 20만~30만명을 오갔던 취업자수 증가폭은 5월 8만명으로 급감한 이후로 10만명대 에 머물고 있다.

 

통계청 서운주 사회통계국장은 제조업 일자리에 대해 "5개월 연속 감소하는 추세"라며 "전자부품, 의복, 종이 펄프류 등의 감소폭이 커졌다"고 말했다.

 

특히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가 3만9000명 감소하면서 2021년 9월(-4만8000명) 이후로 3년 2개월 만의 최대 감소폭을 보였다.

 

'1인 자영업자'를 뜻하는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가 그동안 주로 감소세를 보였다면, 이제는 영세 소상공인 전반으로 일자리가 위축되고 있다는 의미로도 보인다.

 

연령대별로는 고령층이 고용시장을 견인하고 청년층에서는 감소하는 추세가 이어졌다.

 

60세 이상에서 취업자가 29만8000명 증가했다. 30대도 8만9000명 늘었다.

 

반면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18만명 줄었다. 지난 5월부터 7개월째 10만명대 마이너스를 이어가고 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615만1000명으로 작년보다 5만명(0.3%) 늘었다. 육아(-8만9000명), 재학·수강(-7만8000명) 등에서 감소했으나,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는 '쉬었음'(17만9000명)을 중심으로 증가했다.

 

이런 가운데 중소기업은 여전히 구직자들에게 외면 받고 있다. 대기업 선호는 갈수록 높아지고, 중소기업은 정보 제공에도 불구하고 고용 시장에서 경쟁력을 잃고 있는 것이다.

 

최근 중소벤처기업부는 ‘참 괜찮은 중소기업’ 플랫폼을 통해 우수 중소기업 정보를 적극 알리겠다고 나섰지만, 이러한 시도가 고질적인 중소기업 기피 현상을 해결할 수 있을지는 추이를 지켜봐야할 것으로 보인다.

 

10일 취업 플랫폼 ‘캐치’ 조사에 따르면 구직자의 81%가 입사 지원 전에 기업 정보를 검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중소기업에 대한 선호도는 매우 낮았다.

 

청년 10명 중 6명은 대기업을 선택하고, 중소기업을 택하는 이는 1명 남짓. 중소기업은 여전히 구직자들로부터 외면 받고 있다.

 

지난해 대한상공회의소가 청년 구직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대기업 선호 비율이 64.3%에 달했고 ‘중소기업을 선호한다’는 답은 15.7%에 그쳤다.

 

캐치 조사에서도 구직자들이 기업 정보를 검색하는 이유로 “어떤 기업인지 몰라서”를 꼽았다. 중소기업 정보 부족이 구직자의 탐색 과정을 어렵게 만들고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로 보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정보 부족만이 아니다. 구직자들은 중소기업의 연봉, 복지, 근로 환경을 알게 된 후 더더욱 발길을 돌리는 실정이다. 낮은 연봉, 부족한 복지, 고용 안정성에 대한 불안은 중소기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고착화시키는 주요 요인이다.

 

지난해 말 중소기업중앙회 조사에서도, 청년들이 중소기업을 꺼리는 가장 큰 이유는 ‘낮은 연봉’(55.3%)과 ‘열악한 근로 환경’(29.5%)이 꼽힌 바 있다. 정보 제공이 부족하다는 불만을 넘어, 중소기업 자체의 구조적 한계가 실질적인 구직자들의 외면을 부추기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이다.

 

중소기업의 평균 연봉은 대기업 대비 65% 수준에 불과하다. 대기업은 평균적으로 신입 사원에게 월 400만 원을 지급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 260만 원 수준에 그쳤을 정도에 성과급과 복지는 비교조차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대기업이 재택근무, 유연근무제 도입이 활발한 반면, 중소기업의 도입률이 부진한 모습을 보이는 등, 이러한 격차는 정보 제공으로는 해결될 수준이 아니라는 데서 한층 더 구직자의 외면을 부추기고 있다.


이동준 기자 blondie@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