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2030대 "일하기 싫어요"...실적 전망도 어두운 건설업

건설업에 종사하는 20~30대 청년층 연령 비중이 크게 줄면서 고령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건설업 청년층 취업자는 13만1000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할 때 3만7000명 줄어든 수치다.

 

사진 뉴시스

 

청년층이 졸업 후 첫 일자리로 선택하는 분야에서도 건설업은 서비스업 등 10개 산업 분야 가운데 최하위에 머물렀다.

 

한국건설인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전국 건설기술인 100만9144명 중 20~30대는 15만8503명(15.7%)으로 집계됐다. 40대를 포함해도 절반(42.6%)에 미치지 못했다. 반면 50~60대 건설기술인(57만8192명)은 전체의 57.3%에 달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이 지난 12일 내놓은 ‘건설산업 청년 인재 확보 전략’을 보면 지난 2004년 38.1세였던 건설기술인의 평균 연령은 올해 상반기 기준 51.2세로 20년 새 13년이 늘어났다.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근로자의 평균 연령은 43.8세였다.

 

건산연은 “청년 부족이 심화하는 원인은 국가 인구구조 변화 외에 건설산업에 대한 고정 관념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건설산업비전포럼과 건산연이 건설산업에서 활동하는 청년 직장인 및 대학생 406명을 대상으로 직장과 산업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현재 건설 관련 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 및 대학원생의 전공 만족도는 72%로 나타났다.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은 연봉이었고, 워라밸(일과 생활의 균형), 조직문화, 성장가능성 등 근무공간 및 환경 등이 뒤를 이었다.

 

건설산업의 경우 청년 직장인 10명 중 4명꼴로 이직에 대해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무엇보다 최근 1년간 건설산업에 대한 이미지가 나빠졌으며, 응답자의 93%가 건설산업의 이미지 개선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미래 전망을 묻는 질문에는 37%가 나쁘다고 답했으며 41%는 보통을 선택했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건설업 매출액이 45조원 넘게 늘어 역대 최대를 경신했다. 다만 증가율은 전년보다 둔화했다.

 

지난 2022년까지 4년간 건설수주가 늘어난 영향으로 지난해 매출액은 최대치를 경신했지만 지난해 건설수주가 꺾이면서 향후 그 여파가 작용할 전망이다.

 

통계청이 지난 17일 발표한 '2023년 건설업 조사(기업실적 부문)'에 따르면 지난해 건설업 매출액은 506조7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9.9%(45조7000억원) 증가했다. 이는 관련 통계를 작성한 1974년 이래 역대 최대 규모다.

 

다만 증가율은 지난해(12.4%)보다 둔화했다.

 

건설수주는 2019년부터 2022년까지 4년 연속 증가했는데, 1~2년 시차를 두고 실제 공사와 기업 매출액에 반영된다. 지난해 건설수주 계약액이 마이너스로 전환했기 때문에 그 여파는 내년과 내후년에 나타날 수 있다.


이진우 기자 realstone@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