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심호섭의전쟁이야기] ‘세계서 가장 복잡한 전쟁’ 시리아 내전의 교훈

지난 12월8일, 무려 13년간 이어진 시리아 내전이 일단락됐다. 2011년 ‘아랍의 봄’ 물결 속에서 민주주의와 자유를 요구하며 거리로 나선 시민들을 아사드 정권이 무력으로 진압하며 시작된 이 내전은, 시간이 흐르면서 종파·민족·국제적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뒤얽힌 다층적 분쟁으로 변모했다.

특히 종파와 민족 간 갈등이 내전을 복잡하게 만들었다. 정부 집권 세력인 알라위파와 국민 다수를 차지하는 수니파 간의 종파 대립, 알카에다 같은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의 개입, 이슬람국가(IS)의 부상 그리고 자치권을 요구하는 쿠르드족까지 가세하면서 갈등은 한층 심화되었다. 이로 인해 민주화라는 반군의 초기 목적은 점차 희미해졌고, 반군은 여러 세력으로 분열되어 전쟁은 장기화의 길을 걷게 되었다.

 

시리아 시민들이 다마스쿠스에서 바샤르 알아사드의 아버지인 하피즈 알아사드의 동상을 철거하는 모습. 게티이미지

시리아가 지중해·유럽·아프리카를 잇는 지정학적 요충지라는 점도 문제를 복잡하게 만들었다. 러시아와 이란은 정부군을 지지하며 중동 내 영향력 강화를 꾀했고, 미국 등 서방 국가, 튀르키예, 이스라엘은 각자의 목적과 이해관계에 맞는 반군 세력을 지원하며 사실상 대리전을 펼쳤다. 그 결과 시리아 내전은 전 세계 여러 강대국이 얽힌 ‘글로벌 대리전’ 양상을 띠게 되었다.

 

이러한 양상은 시리아 북부의 핵심 도시 알레포를 둘러싼 공방전에서 극명히 드러났다. 2012년 이후 반군에 넘어갔던 알레포를 정부군이 탈환하려는 과정에서 IS와 이슬람 극단주의 단체가 반군 측에 가세하며 교전이 더욱 격화되었다. 그러던 중 2015년, 이란 혁명수비대 쿠드스군 총사령관 가셈 솔레이마니가 동원한 헤즈볼라와 러시아에서 파견된 바그너그룹 용병 등 약 8000명의 외국 병력이 투입되고, 러시아 공군의 폭격 지원까지 더해지면서 정부군은 결국 알레포 일대를 완전히 장악했다. 이후 내전의 주도권은 정부군이 쥐게 되었다.

내전의 또 다른 전환점은 2021년 이후 국제 정세 변화와 함께 찾아왔다. 러시아와 이란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등으로 인해 시리아에 투입할 역량과 자원이 크게 줄어들었다. 이러한 힘의 변화로 인해 반군이 수도 다마스쿠스를 점령하면서 아사드 정권은 붕괴됐다.

13년 동안 이어진 시리아 내전은 약 60만명의 민간인 희생을 낳았으며, 1400만여명이 피란민이 되었다. 그중 680만여명이 해외로 탈출함에 따라 국제사회의 난민 문제가 부각되었다. 전쟁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약 1조달러에 달해 시리아 사회와 경제 전반에 깊은 상흔을 남겼다.

아사드 정권 붕괴로 시리아 내전은 일단락되었지만, ‘세계에서 가장 복잡한 전쟁’이라는 별칭이 시사하듯, 갈등의 근본 원인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상태다. 이곳에서 향후 어떤 요인으로 또다시 충돌이 재점화될지 아무도 장담할 수 없다.


심호섭 육군사관학교 교수·군사사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