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대표 기업인 삼성그룹이 주식시장에서는 체면이 말이 아니다. 올해 들어 그룹 시가총액은 161조원 넘게 사라져 증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대로 떨어졌다.
29일 금융투자업계와 한국거래소, 연합인포맥스 등에 따르면 국내 증시에 상장된 삼성그룹 종목(우선주 포함 22개)의 합산 시총은 지난 26일 기준 548조4413억원이었다. 지난해 말 709조6920억과 비교하면 올해 들어 약 161조2500억원(22.7%) 쪼그라들었다. 전체 증시 비중은 27.57%에 그쳤다. 2021년 1월 초 38%대까지 올랐다가 올해 하반기 들어 30%를 밑돌더니 최근 27%대까지 하락했다.
삼성전자 주가가 같은 기간 31.71% 빠진 영향이 컸다. 이 기간 삼성SDI(-47.66%)와 삼성E&A(-42.68%), 호텔신라(-42.58%), 삼성SDS(-23.94%) 등을 포함한 14개 종목이 약세를 보였다. 삼성생명(45.44%)과 삼성화재(40.68%), 삼성카드(26.58%) 등은 기업 밸류업(가치 제고) 기대감에 올랐다. 조선업에 대한 기대가 커지며 삼성중공업(49.37%)도 상승했고, 외국인 매수세가 두드러진 삼성바이오로직스(23.28%)도 올랐지만, 삼성전자의 부진을 만회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삼성그룹을 주 테마로 하는 상장지수펀드(ETF)도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코덱스(KODEX) 삼성그룹 밸류’는 올해 들어 14.15% 내렸다. ‘타이거(TIGER) 삼성그룹 펀더멘털’과 ‘에이스(ACE) 삼성그룹 동일가중’은 각각 13.12%, 3.86% 하락했다.
분위기 반전을 위해선 삼성전자의 주가 반등이 필수인데, 당분간 기대하기 어렵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중국 업체의 공급 확대에 따른 범용 메모리 반도체 가격의 하락과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른 관세 우려 등으로 범용제품 수요는 내년 상반기까지 위축이 불가피해 보이는 탓이다. 최근 NH투자증권(9만→7만5000원), KB증권(8만→7만원), DB금융투자(9만→7만9000원), iM증권(7만2000→7만1000원) 등은 삼성전자의 목표주가를 내린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