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이 변산반도 앞바다에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북한 광명성 3호의 1단 추진체 잔해 수거 준비에 착수했다.
이 작전은 북한 미사일 개발 수준을 가늠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작전에는 해군의 잠수함 구조함인 청해진함과 해난구조대(SSU)가 동원된다.
정부 소식통은 28일 “합참이 내달 12∼16일 사이 발사될 예정인 북한 장거리 미사일의 예상 궤적을 추적하는 동시에 1단 추진체의 수거 작전에 돌입한 것으로 안다”며 “최근 해군 작전사령부에 청해진함과 SSU 대원을 대기시키고 교육하라는 지시가 내려졌다”고 말했다.
청해진함은 국내 유일의 심해구조용 잠수정을 보유한 4300t급 구난함이다. 추진체 회수 및 잔해 수거 작전에는 음향탐지장비(VDS) 등을 갖춘 양양함과 옹진함 등 기뢰탐색함도 참가한다. 천안함 폭침의 결정적 증거인 어뢰 추진체를 건져올린 ‘쌍끌이’ 어선의 투입도 검토되고 있다.
현재 군당국은 1단 추진체의 크기를 약 15m로 추정하지만 해상에 추락하면서 원형이 보존될지는 미지수다.
군 관계자는 “서해 수심이 평균 40m로 비교적 얕은 데다 천안함 인양과 해상 추락 전투기 블랙박스 수거작업 등 전례를 감안할 때 수거 가능성이 작지 않다”며 “조수간만의 차가 크고 바닷속 시계가 불량해 어려움도 있다”고 말했다.
우리나라는 2002년 첫 국산 액체추진 과학로켓인 KSR-Ⅲ를 서해상으로 발사한 뒤 물속에 빠진 로켓을 회수하는 데 성공한 적이 있다.
군은 북한이 1단 추진체 내부에 자폭장치를 달아 파괴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합참 관계자는 “북한은 우리 군이 회수해 미사일 기밀을 파악할 것을 우려해 1단 추진체가 분리 직후 공중에서 폭발하도록 시한폭탄을 장착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조광래 항공우주연구원 나로호추진단장은 “기술적으로 가능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그런 장치를 한 사례는 들은 적이 없다”고 말했다.
북한은 앞서 16일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와 국제해사기구(IMO)에 광명성 3호 발사 시 1단 추진체는 변산반도 서쪽 140㎞에, 2단 추진체는 필리핀 동쪽 190㎞ 해상에 떨어진다고 통보했다.
1단 추진체는 발사기지인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발사장에서 거리 450여㎞, 대기권을 벗어난 250∼300여㎞ 상공에서 분리돼 떨어질 것으로 분석된다.
1단 추진체가 떨어질 해상은 공해상이다. 중국 웨이하이와 약 250㎞ 떨어져 있어 중국이 수거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
박병진·조병욱 기자
worldpk@segye.com
20120329020027
北 로켓 잔해 수거…정예요원 “위치로”
//mimg.segye.com/content/image/2012/03/29/20120329020027_0.jpg
6
1
09
6
1
저작자 표시 + 변경금지
N
20120328022710
'457m 잠수 가능' 구조정 탑재, 청해진함은…
20120328181356
20120329081402
20120328190115
합동참모본부가 내달 중순으로 예고된 북한 장거리미사일 발사를 앞두고 해군에 1단 추진체 회수 및 잔해 수거 준비작전 돌입을 지시한 것은 국제사회의 압박에도 북한이 미사일 발사를 강행할 것을 염두에 둔 조치다. 바닷속에 가라앉은 천안함과 어뢰추진체를 건져올려 북한의 도발 실상과 우리 군의 인양 능력을 과시한 해군이 이번에도 성과를 낼 수 있을지 관심사다.북한 장거리미사일 발사에 따른 1단 추진체 수거작전에는 해군 유일의 잠수함 구조함인 청해진함(ASR-21)과 기뢰탐색함이 참가할 계획이다. 청해진함은 잠수함 조난 시 인명구조 및 선체인양 등 구조지원을 담당한다. 수심 300m까지 심해잠수사의 잠수를 지원할 수 있는 심해잠수장비(DDS)와 최고 수심 457m까지 잠수할 수 있는 잠수함 승조원 구조용 심해잠수구조정(DSRV)을 탑재해 이번 작전에 적격이다. 헬기가 이착륙할 수 있는 비행갑판이 있어 추진체를 발견하면 신속하게 육지로 이송할 수 있다. 승조원 140여명 가운데 3분의 1이 해군 해난구조대(SSU) 대원으로 구성돼 있다.청해진함의 작전은 1998년 6월 동해안으로 침투한 북한 유고급 잠수정 예인으로 시작됐다. 이듬해 3월에는 남해안에 침투하다 격침된 북한 반잠수정을 건져올렸다. 반잠수정이 가라앉은 곳의 수심은 150m에 달했고, 당시 인양기록은 역사상 가장 깊은 수심에서의 인양기록으로 기네스북에 오르기도 했다. 하지만 2010년 3월 천안함 폭침 때는 진해 해군기지에서 정기수리를 받던 중이어서 현장에 투입되지 못했다. 당시 감압챔버 부족으로 천안함 승조원 구조작업이 지연되자 3기의 감압챔버에 심해잠수구조정까지 갖춘 청해진함을 파견하지 못한 해군에 비판이 쏟아지기도 했다.이번 추진체 수거에는 천안함 폭침 현장 도착 1시간 만에 사고지점에서 183m 떨어진 곳에서 함미를 찾아낸 기뢰탐색함도 투입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 탐색함은 전시에 적이 깔아놓은 기뢰를 탐색·제거하는 임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수중 물체를 발견하는 능력은 청해진함보다 뛰어나다. 현재 해군은 양양급(730t급) 3척과 강경급(450t) 6척 등 모두 9척의 기뢰탐색함을 보유하고 있다.이렇게 투입된 함정에서 활약할 부대로는 해난구조를 위한 특수잠수부대 SSU가 손꼽힌다. 군 관계자들은 추진체가 높은 고도에서 떨어지면 그 잔해를 찾아내기가 쉽지 않겠지만 그간의 성과를 보면 불가능하지도 않다고 입을 모은다.해군은 부족한 심해작전 장비를 보강하기 위해 차기 구조함을 건조 중이다. 또 2016년까지 최신형 수중무인탐사기(ROV) 3대를 구조함에 배치하기 위해 미국 업체와 계약을 체결했다.박병진·조병욱 기자
20120329020158
"北 로켓 연료주입…내달 12∼13일 발사"(종합)
20120329064435
20120329095907
20120329074940
"北 로켓 연료주입…내달 12∼13일 발사"(종합)북한 "국 전문가와 기자들에게 발사 실황 공개" 일본의 도쿄신문은 북한이 위성 발사를 위해 로켓에 연료주입을 시작했으며, 다음달 12∼13일쯤 발사할 것이라고 29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서울발 기사에서 북한 정권에 가까운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이렇게 전했다. 신문은 북한이 발사 예정인 로켓에 액체 연료 주입을 시작했으며, 소식통이 "위성 발사가 임박해 있다. 다음달 12∼13일에 발사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북한은 인공위성을 내달 12~16일 오전 7~12시 사이에 발사할 것이라고 국제기구에 통보한 바 있다. 북한은 지난 23일 장거리 로켓인 광명성 3호 위성 발사 작업이 '본격적인 실동단계'에 돌입했다고 발표했었다. 군사전문가에 의하면 북한은 차량으로 운반이 가능한 이동식 미사일과 고정식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다. 고정식의 경우 일단 연료 주입이 시작되면 투입되는 비용 때문에 발사를 중지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있다. 한편, 북한의 조선우주공간기술위원회 우주개발국 부국장은 28일 조선중앙통신과 회견에서 외국 전문가와 기자들에게 위성 발사 실황을 전면 공개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