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깊은 위로” 문 대통령 답장에도… 피격 공무원 유족은 ‘실망’

숨진 공무원 고교 2학년 아들 편지에 답신
북한군에게 피살된 해양수산부 공무원의 형 이래진씨(왼쪽)가 지난 8일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고영호 시민사회수석실 행정관에게 고등학생 조카가 작성한 편지를 전달하고 있다. 뉴스1

서해 최북단 소연평도 인근 북측 해상에서 북한군에게 사살된 해양수산부 공무원 이모(47)씨의 고등학생 아들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아빠의 명예를 돌려달라”고 호소하는 편지를 쓴 것과 관련, 문 대통령의 답장이 13일 유족 측에 전달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편지에서 문 대통령은 “깊은 위로의 마음을 전한다”고 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유족 측은 문 대통령이 그동안 공개석상에서 언급한 수준의 내용이라며 실망감을 드러냈다.

 

이씨의 친형 이래진(55)씨는 언론에 이날 오전 문 대통령이 쓴 A4용지 1장짜리 편지가 등기우편으로 이씨의 아들에게 전달됐다고 밝혔다. SBS가 방송에서 공개한 편지의 일부 내용을 보면 문 대통령은 “아버지에 대한 존경의 마음과 안타까움이 너무나 절절히 배어있어 읽는 내내 가슴이 저렸다”며 위로의 뜻을 전했다. 문 대통령의 편지는 친필이 아닌 컴퓨터 타이핑으로 쓰여 있었다. 이씨는 연합뉴스와의 전화 통화에서 “대통령이 그동안 방송에서 수차례 밝힌 내용인데, 더 추가된 대책이나 발언은 없었다”면서 “편지가 처음 도착했을 땐 먹먹한 마음에 뜯어보는 것도 망설여졌지만 막상 내용을 보니 실망감과 허탈한 마음이 앞섰다”고 털어놨다.

 

 그러면서 이씨는 “(동생의) 고등학생 아들이 절규하는 마음으로 쓴 편지의 답장이라곤 생각하기 어려웠고, (동생의 죽음이) 무시 당한 기분이 들었다”고도 말했다. 이씨는 14일 오후 1시 인천에 있는 해양경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문 대통령이 보낸 편지의 상세한 내용을 공개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는 해경청에 유족의 항의서한과 정보공개청구서를 제출할 예정이라고도 밝혔다. 앞서 이씨는 지난 8일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고영호 청와대 시민사회수석실 행정관을 만나 고등학교 2학년 조카가 문 대통령에게 보내는 편지를 전달했다. 당시 이씨는 “가족을 대표해서 드린다”며 “대통령께 잘 전달해 진지하게 답변이 왔으면 한다”고 당부한 바 있다.

 

 북한군에 피살된 공무원 이씨의 아들 이모군은 문 대통령에게 보낸 2쪽짜리 편지에서 “저와 엄마, 동생이 삶을 비관하지 않고 살아갈 수 있도록 아빠의 명예를 돌려주십시오”라고 호소했다. 이군은 “지금 저희가 겪고 있는 이 고통의 주인공이 대통령의 자녀 혹은 손자라고 해도 지금처럼 하실 수 있겠느냐”고도 되물었다. 이어 “아빠는 왜 거기까지 갔으며, 국가는 그 시간에 아빠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 왜 아빠를 구하지 못했는지 묻고 싶다”고 적었다. “시신조차 찾지 못하는 현 상황을 누가 만들었으며 아빠가 잔인하게 죽임을 당할 때 이 나라는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 왜 아빠를 지키지 못했는지 묻고 싶다”고도 거듭 강조했다.

 

서해 연평도 인근 북한 해상에서 피살된 해양수산부 공무원 이모씨의 형 이래진씨가 지난 5일 언론에 공개한 이씨의 고등학생 아들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낸 자필편지. 이래진씨 제공

 

 이군은 정부가 이씨의 자진 월북이 유력하다고 발표한 데 대해서도 “수영을 전문적으로 배운 적 없는 저희 아빠가, 180㎝의 키에 68㎏밖에 되지 않는 마른 체격의 아빠가 38㎞의 거리를, 그것도 조류를 거슬러 갔다는 게 진정 말이 된다고 생각하는지 묻고 싶다”며 “본인만 알 수 있는 신상정보를 북에서 알고 있다는 것 또한 총을 들고 있는 북한군이 인적사항을 묻는데 말 하지 않을 사람이 누가 있겠느냐”고 반박했다. 이씨는 지난달 21일 오전 11시30분쯤 소연평도 인근 해상의 어업지도선에서 실종된 뒤, 이튿날 오후 북측 해상에서 발견됐다. 북한군은 이씨에게 총격을 가한 뒤 시신(북한은 부유물이라고 주장)을 불태우기까지 한 것으로 파악됐다.

 

 야권에서도 문 대통령의 답장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국민의힘 김예령 대변인은 이날 구두논평에서 문 대통령이 이씨의 유족 측에 보낸 편지를 두고 “‘수사 결과를 기다려보자’는 말에서 한 걸음도 내딛지 못한 형국”이라며 “무미건조한 형식과 의례 그 이상도 아니었다”고 평가했다. 김 대변인은 “마냥 해경의 조사 결과를 기다려보자는 것이 유족에겐 얼마나 큰 고통이자 아픔이겠는가”라고 되물으며 “유족은 절망으로 남은 힘도 없을 듯하다”고 덧붙였다. 이어 “북한에는 성심과 성의를 다해 종전선언을 속삭이면서도, 정작 애가 타들어가는 우리 국민에게는 희망 고문만 되풀이하는 대통령에 유족과 국민들은 자괴감만 커진다”고 지적했다.

 

김주영 기자 bueno@segye.com